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돈벌러와 함께하는 생활의 팁

말하기와 글쓰기 둘 다 잘하는 방법(세바시 1857회, 정문정 작가) 말하기와 글쓰기 둘 다 잘하는 방법(세바시 1857회, 정문정 작가)1. 말하기와 글쓰기 말을 잘하면 글을 잘 쓸까요?아니면 글을 잘 쓰면 말을 잘할까요?사실 말할 때 쓰는 에너지와 글을 쓸 때 쓰는 에너지는 각기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말하기와 글쓰기는 똑같지 않습니다.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말을 할 때의 에너지로 글을 쓰고, 글을 쓸 때의 에너지로 말을 하곤 합니다.이런 식으로 글을 쓰면 글이 흐리멍덩해지고, 말은 지루해집니다.오늘의 주인공 정문정 작가는 직장생활을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생각하다 그 방법들을 글로 쓰면서 직장을 그만두고 전업 작가가 된 케이스라고 자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또한 어릴 때부터 책벌레라고 불릴 정도로 책 읽기를 좋아하고, 글쓰기가 말하는 것보다 훨씬 더 편했다고.. 더보기
잊지 못할 (故)정은임 아나운서 잊지 못할 (故) 정은임 아나운서 거의 모든 사람을 다 포용할 수 있는  세상을 보는 마음 자체가 따뜻한 분(박경추 아나운서)이 사람 자체가 너무나 고유하고 멋있는 사람, (차미연 아나운서)앞으로는 그가 어떤 빛을 내면서 살아갈까를 지켜보고 싶은 마음이 드는 사람(김세윤 작가) 정은임 아나운서를 기억하는 동료들이 그녀를 기억하며 한 말들입니다.미래가 그려지지 않은 청춘.불면의 밤을 보낼 때마다 '그래 지금 이 시간에도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이 있어! 그래 이런 부조리는 나만이 겪는 게 아니야! '라는 마음을 저절로 불러일으키는 지친 나에게 위안을 주는 는 아직도 내 마음속 최고의 라디오 프로그램입니다.오늘은 동료들이 극찬하는 동료, 세상을 떠난 지 20여 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 더보기
한번 녹았다 다시 얼린 아이스크림은 왜 맛이 없을까요? 1. 한번 녹았다 다시 얼린 아이스크림은 왜 맛이 없을까요?아이스크림의 부드러운 식감의 비밀은 바로 '공기'입니다.아이스크림 표면을 확대해 보면 표면에 수없이 많은 구멍이 있습니다.이것은 아이스크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우유, 크림, 분유, 설탕 등을 섞어 얼릴 때 조직의 부드러움을 위해 공기를 주입하는데 이때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는 정도를 '오버런'이라 하며, 오버런 정도에 따라 아이스크림의 부드러움과 맛의 진함이 결정됩니다.따라서 아이스크림을 제조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오버런이며 아이스크림 원료를 얼리면서 그 사이사이에 공기를 넣어서 아이스크림이 완성되었을 때 부피를 늘리는 것입니다.젤라토 기계나 아이스크림 기계를 돌릴 때 공기를 지속적으로 주입해서 아이스크림의 부피를 .. 더보기
문해력, 독해력, 지능, 사고력을 기르는 자녀 교육 방법 문해력, 독해력, 지능, 사고력을 기르는 자녀 교육 방법1. 지능과 사고력을 올려주는 부모들의 습관1. 1 아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라부모들은 아이들의 이야기를 무심코 지나쳐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런데 아이들의 이야기 속에 아이들의 욕구나 숨은 의미들이 있으며, 이를 찾아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예를 들어 초등 1~2학년의 아이로 계산도 잘하고 전반적으로 수학을 잘하는데, 수학 문제가 문장으로 되어 있으면 풀지 않고 넘어가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이때 왜 이러는 것인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무리하게 아이에게 '애 이것이 싫으니?' 또는 '왜 이것도 못 푸니?'와 같이 물어보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그 이유를 말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넌지시 물어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아이에게 답을 듣는 데에.. 더보기
고대 사람들의 수(NUMBERS), 구고현 정리(피타고라스 정리)와 원적문제 그리고 파이(원주율) 고대 사람들의 수(NUMBERS), 구고현 정리(피타고라스 정리)와 원적문제 그리고 파이(원주율)1. 구고현 정리(피타고라스 정리) 높이 구, 밑변 고, 빗변 현으로 이루어진 구고현정리는 우리가 학교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라고 배운 그 법칙으로 이는 서양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법칙입니다.사각형은 곡촉으로 풀고 곡촉은 구구단으로 풀어나갑니다.밑변이 3, 높이가 4인 직각 삼각형이 있습니다.이 삼각형은 가로가 3이고 세로가 4인 직사각형의 절반입니다.따라서 그 면적은 3X4=12의 절반인 6입니다.똑같은 직각 삼각형을 세 개 더 만들어 붙여 위와 같이 정사각형을 만들었습니다.면적은 6+6+6+6+1=25입니다.정사각형 한 변의 길이는 5입니다.따라서 밑변 3, 높이 4인 직각삼각형의 빗변은 5가.. 더보기
소수를 찾기 위한 천재 수학자들의 도전 소수를 찾기 위한 천재 수학자들의 도전1. 소수란? 소수는 아주 특별한 성질을 가진 숫자입니다.소수는 1과 자신을 제외하면 어떤 수로도 나눠지지 않는 수를 말합니다.이 소수에는 많은 수학자들이 풀고자 했던 수수께끼가 숨어 있습니다.인류의 지성이 시작된 이래 소수는 수많은 수학자들의 탐구대상이었습니다.2. 메르센 소수숫자 하나의 크기가 어마어마한 이 거대 소수는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마랭 메르센(Marin Mersenne, 1588~1636)의 이름을 따 '메르센 소수'라고도 부릅니다.수를 사랑했던 메르센은 특히 소수의 질서를 찾는데 빠져있었습니다.그는 n이 1보다 큰 자연수 일 때, 2의 n승에서 1을 빼면 소수가 나온다는 식을 만들었습니다.그러나 모든 수가 소수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것을 알았습.. 더보기
초고령자가 고집스럽게 똑같은 일을 하는 이유 초고령자가 고집스럽게 똑같은 일을 하는 이유1. 인정욕구, 노인이 고집스레 계속해서 일을 하는 이유 사람은 나이가 들어 거동이 불편해도 고집스럽게 일을 해대는데 이것은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싶은 '인정욕구' 때문입니다.인정욕구란 남 또는 스스로에게 능력을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로 인간의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심리적 욕구를 말하며 , 심리전문가들은 인간은 평생에 걸쳐 인정받기 위해 투쟁을 벌인다고 말합니다.노인들에게 집안일이나 농사일 등을 고집스럽게 하는 것은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가장 좋은 수단입니다.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하기 위해 죽는 순간까지도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해나갈 것입니다.자식들은 노인들이 자신의 체력이나 신체적 능력치를 생각하지 않고 일을 해 아프게 되면 병원치료비나 약값이 더 나간다며 .. 더보기
콜레라, 영국의 제국주의가 확산시켜 일곱 번의 팬데믹을 일으킨 감염병 콜레라, 영국의 제국주의가 확산시켜 일곱 번의 팬데믹을 일으킨 감염병1. 콜레라란? 콜레라는 제국주의 시대에 벌어진 '정복에 대한 욕망'과 무분별한 '산업 발전의 욕망'에서 비롯된 감염병입니다.인간의 또 다른 욕망에서 비롯된 이 감염병은 1817년~1975년 1차 팬데믹을 시작으로 150여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무려 7번의 대규모 팬데믹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콜레라를 일으키는 콜레라균은 꼬리같이 보이는 편모를 움직이면서 헤엄을 치며 물속에서 사는 균입니다.콜레라균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먹어서 우리 몸에 들어오게 되면 콜레라균이 소장 벽에 붙어 강력한 독소를 뿜어내기 시작합니다.이 독소는 대량의 수분을 배출하도록 자극하면서 지독한 설사와 구토를 유발하며, 결국 심각한 탈수 증상으로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