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프에 진심인 사람들 모여라

생활스포츠 지도사 2급 필기 시험 공부(한국 체육사 5. 광복 이후의 체육)

반응형

5. 광복 이후의 체육

1) 연도별 정리

구분 연도 사건  특징
미군정기 1945년 조선체육회 재건 각종 체육단체 설립 및 국제활동 시작 
-조선육상경기연맹, 조선축구협회
-IOC에 대한올림픽 위원회 가입
1947년 제28회 전국체육대회 개최-올림픽예선전 성격
이승만
정부
1948년 14회 런던올림픽 참가, 우리 국호 사용
1948년 조선체육회→ 대한체육회 명칭 변경
1949년 제30회 전국체육대회(21개종목, 4천여명) 
1950년 한국전쟁 발발→ 1960년 이승만 정권 붕괴
뚜렷한 진흥정책이나 국민적 스포츠의 보급 및 발달이 없음
박정희
정부
1961년 "체력은 국력" 슬로건 채택
"국민재건체조" 제정, 대한체육회 예산지원
1. "체력은 국력" 슬로건
2. 국가주의 체육 체계화 
3. "스포츠혁명"정도의 혁신적인 변화
4. 우수선수 육성을 통한 국위 선양 
5. 스포츠의 대중화를 통한 건전한 국민
6. 보건체육의 시수 증가 
7. 엘리트스포츠 양성(태릉선수촌건립)
8.입시제도에 체력장 도입(입시 과열)
1962년 "국민체육진흥법" 공포, "체육의 날" 제정
1966년 "태릉선수촌" 건립
1968년 "대한체육회관"건립, "대한체육회" 통합
1970년 "국민체육심의위원회" 구성
1972년 "서울올림픽 유치 계획"
1974년 "우수선수병역면제, 연금제도" 실시
1976년  "사회체육진흥 5개년 계획"
전두환
정부
1981년 올림픽 유치 계획 검토 및 추진, 유치성공 1. 박정희 대통령의 체육 정책 기조 계승
2. 스포츠를 통한 일체감 조성, 정권의 안정 
3. 3S 정책(Sex, Sport, Screen) 
프로스포츠 구단 설립 
1997년 프로농구-2005년 프로배구 등
1982년 체육부 신설(엘리트 중심 대중 스포츠)
1982년 프로야구 출범
1983년 프로축구, 씨름 출범
1984년 국군체육부대(상무) 창설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개최
노태우
정부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160개국 중 종합4위 1. 남북스포츠교류의 활성화 
2. 스포츠진흥운동(스포츠포올무브먼트) 
▶엘리트위주→ 대중화(생활체육) 

3. 국민체육진흥공단 설립 
▶체육관련 국가자격시험 및 기금조성사업
1989년 국민체육진흥공단 설립체육지도자 양성
1990년 "국민생활체육진흥 3개년 계획▶호돌이 계획
1990년 체육부→ 체육청소년부 명칭 변경
김영삼
정부
1993년 문화부+체육청소년부 문화체육부 개편 체육행정의 대폭축수 및 학교체육의 위기 
전문체육→ 생활체육의 급격한 변화추진비판
1급 생활체육지도자 양성
1998년 체육청소년부 업무 문화관광부 이관
김대중
정부
1998년~2003년 국민의 정부 
"제2차 국민체육진흥 5개년계획" 
"생활체육참여 환경 구축 및 지역공동체중심"
국민 체육활동 참여 기회 확대, 체육지도자 양성,
여가생활을 위한 복합 체육시설 확충
노무현
정부
2008년~2012년 참여정부
"제3차 국민체육진흥 5개년계획"
"생활체육 활성화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주민친화형 생활체육 정책, 스포츠클럽 체계화, 
생활체육지도인력 관리
이명박
정부
2008년~2012년  정부조직 개편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비전" "15분 프로젝트 체육활동 여건 개선" 지역스포츠클럽 활성화, 전통무예지정, 레저시설 공간 확충, 맞춤형 체육복지 구현
박근혜
정부
2013년~2017년 "스포츠비전2018" 
"스포츠로 대한민국을 바꾸다"
"스포츠활성화로 건강한 삶 구현" 
"생애주기별 맞춤 프로그램, 체력인증제, 종합형 스포츠 클럽, 행복나눔스포츠교실확대
문재인
정부
2018년~2022년 "스포츠비전2030",
"2018 평창동계올림픽,
"사람을 위한 스포츠, 건강한 삶의 행복"
스포츠법제정(스포츠기본법, 스포츠클럽법, 체육인복지법)

2) 체육사 관련 기타 사실

광복 이후의 스포츠 문화 특성  1. 스포츠 문화 발달 특성
-스포츠 문화의 급진적 발달
-선 엘리트스포츠 후 대중스포츠 발달
1. 국가주의: 애국심, 국가와 대표팀 동일시
2. 엘리트주의: 국위선양, 국가의 영웅
3. 건민사상: 건전하고 강인한 국민성 
4. 상무정신: 무를 중시하는 정신
대한체육회 역사 '20 1945년 조선체육회 재건 
1948년 대한체육회 변경 
1961년 박정희 정권에서 국고로 예산 지원 
1963년 장충체육관 건립 
1966년 태릉 선수촌 완공 
1968년 체육조직 일원화(대한올림픽위원회/대한체육회) 
1983년 특수법인체 전환 
2009년 대한올림픽 위원회 통합
남북한단일팀 합의서 내용
(1991년) 
국호 코리아(KOREA)사용, 선수단기-한반도기, 선수단가-아리랑, 경기를 통한 선수선발, 
서로의 훈련방법 존중 등

3) 올림픽 및 아시안게임 경기사 '21, '20 '19' 18

하계올림픽 동계올림픽 및 아시안게임
1948년생 모리츠 동계올림픽 참가 이후 같은 해 런던올림픽 하계 올림픽 최초 참여
최초의 동메달: 김성집(역도), 한수안(복싱)
1947년 우리나라 국호로 국제 경기 최초 참가
▶보스턴 마라톤대회-서윤복
1948년 생모리츠 동계올림픽-실제적 최초 참가
1952년 헬싱키올림픽 한국전쟁 중에서도 참여 1952년 오슬로 동계올림픽 선수단 미파견
1956년 멜버른올림픽 최초의 은메달: 송순천(복싱) 1954년 마닐라 아시안게임 최초 참가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 최초의 금메달: 양정모(레슬링) 1970년 방콕 아시안게임 수영과 투포환 신기록
▶'아시아의 물개': 조오련(수영)
▶'아시아의 마녀': 백옥자(투포환)

1984년 LA올림픽 최초의 여성 금메달: 서향순(양궁)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 개최
1988년 서울올림픽 동서화합의 올림팍
종합순위 4위, 
최초의 구기 금메달: 여자 핸드볼
마스코트-호돌이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
 시범종목 금메달: 쇼트트랙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 광복 이후 첫 마라톤 금메달: 황영조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최초의 금메달: 김기훈(쇼트트랙)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하계와 2년 주기로 개최
2000년 시드니올림픽 태권도 정식종목 채택
남북한 최초 올림픽 공동입장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 및 4강 진출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개최
2003년 아테네올림픽 양궁, 유도, 배드민턴, 레슬링, 탁구 등  
2008년 베이징올림픽 양궁, 유도, 수영, 역도, 야구, 배드민턴 등 2010년 벤쿠버 동계올림픽 불모지 첫 금메달 
▶모태범, 이상화(스피드스케이팅), 김연아(피겨스케이팅)
2012년 런던올림픽 양궁, 유도, 사격, 펜싱, 체조, 레슬링 등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개최
2016년 리우올림픽 양궁, 태권도, 사격, 펜싱, 골프 등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마스코트-수호랑, 반다비
 2020년 도쿄올림픽 양궁, 펜싱, 체조 등

4) 남북한 체육사 '21 '18

1664년 올림픽 배구 에선 17년 만의 첫 재개
1990년 남북통일축구대회 개최(남북 체육회담의 계기) 
1.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2회전 경기(1패 1승)
1991년 분단 이후 최초의 남북단일팀 기본합의서 채택(합의서 내용은 위 본문 참조)
1. 제41회 지바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자단체전 우승
2. 제6회 포르투칼 세계청소년 축구대회 출전 8강 진출 선전

1999년 남북통일농구대회(서울1회-평양1회개최, 민간주도 사업-현대그룹의 평양 체육관 건설)
2000년 남북통일탁구대회(평양에서 실시, 삼성그룹과 북한관련단체 공동주최)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북한선수단 남한파견
2003년 대구유니버시아드대회 북한선수단 남한파견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예선 북한 대 남한 경기 실시
2013년 아시아역도 대회(최초 남한선수단의 북한파견)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공동 여자하키팀 결성

5) 여성 스포츠사 '22

1964년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 5위 및 세계 베스트 5위 선수 선정 
▶박신자(67년 여자농구선수권대회에서 세계 베스트 1위 선정)
1970년 아시아경기대회 필드부문 포환던지기 신기록
▶ 백옥자(각종 대회에서 신기록을 수립하며 '아시아의 마녀' 별칭을 얻음)
1973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체전 석권 및 스포츠 선수 최초 훈장 수여
▶이에리사(최초의 여성 태릉선수촌장), 정현숙, 박미라 등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여자 배구 동메달
▶최초의 구기종목 동메달 획득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여자 핸드볼 금메달
▶ 최초의 구기 종목 금메달 획득
1989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혼합복식 금메달
▶현정화(탁구계의 그랜드슬램 달성)
1998년 4대 메이저 골프 대회 맥도널드 LPGA 우승
▶박세리(이어서 김미현, 박지은, 펄신 선수 등 여자프로골프의 성장 도모)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역도 부문 금메달
▶장미란(인상 및 용상에서 세계신기록 수립)
2010년 벤쿠버 동계올림픽
▶이상화(스피트스케이팅), 김연아(피겨스케이팅)

6) 대한민국 스포츠 영웅 

출제년도 선수명 내용
2011년 김성집 1948년 런던올림픽 역도 동메달리스트 
해방 후 최악의 조건에서 우리나라의 국호로 동메달을 딴 스포츠 영웅 
손기정 1936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일제강점기 시대 국민들에게 큰 힘을 준 스포츠 영웅
2013년 서윤복 1947년 보스턴마라톤대회 세계 신기록 수립
 가슴에 태극기를 달고 세게에 대한민국을 알린 스포츠 영웅
2014년 민관식 태릉선수촌을 준공 및 대한체육회장으로 활동 다양한 활동을 통해 대한맨국의 스포츠 발전을 이룩함
장창선 1966년 세계레슬링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 획득
 국민에게 열정과 투혼으로 귀감을 주며 추후 태릉선수촌장을 역임
2015년 김운용  대한체육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역임
 올림픽 및 월드컵, 각종 세계대회를 유치하며 스포츠 외교의 공을 세움
박신자 1964년, 1967년 세계선수권 대회 월드 베스트 선수 선정
 여성스포츠회 초대 회장 및 추후 여성스포츠의 발전을 위해 힘씀
양정모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 레슬링 부문 금메달
 해당 이후 한국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2016년  김연아   2010년 벤쿠버 동계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부분 금메달
 동계올올림픽의 불모지에서 세계신기록으로 금, 은메달 획득 
2017년 차범근 한국 축구선수 중 최초의 독일 분데스리가 진출 선수
 10시즌 308경기 98골의 전대미문의기록을 세움 
2018년 김진호 한국 양궁의 원조 신궁, 각종 세계경기 대회를 석권하며 '양궁 여왕'에 오름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 3관왕 후 한국체대 교수로 후배 양성
김일 씨름선수 천하장사 출신에서 프로레슬링의 선구자로 세계챔피언을 획득
 일본 무대에서 거구의 일본 선수들을 제압하면서 국민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줌
 2019년 엄홍길 세계 최초 히말라야 16좌를 완등한 등산인
 불가능한 도전을 성공하면서 국민들에게 희망을 준 스포츠 영웅
2020년 조오련 1970년 74년 아시안게임 자유형 2관왕 및 한국 신기록 갱신
 대한해협 횡단 및 독도 사랑 실천으로 애국심을 고취시킨 스포츠 영웅
2021년 김흥빈 세계 최초7대륙 최고봉 및 히말라야 14개봉을 완등한 장애인
 불가능을 이뤄내면서 세상에 응원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 스포츠 영웅
2022년 이봉주 아틀란타 올림픽 은메달, 방콕 아시안게임 금메달, 보스턴세계대회 1위 
세계 마라톤 대회를 석권하며 한국 육상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스포츠 영웅

 

<출처: 헝그리스포츠 TV>

반응형